1. 질병명
: 간경변증
2. 영어명
: Liver Cirrhosis
3. 분류
: 소화기 질환
4. 질병 코드
: K741
5. 정의
: 간 악성 병변으로서 간세포의 파괴, 섬유조직의 증식, 간 혈관의 변형, 간 기능의 저하를 보여주는 질환이다.
만성 간염은 장기 지속되는데, 간 섬유질이 정착되고, 부드러운 간실질 위축, 정상적인 간 형태가 사라지고, 흉터
사이에 남아 있는 간세포 재생에 크고 작은 노드를 형성하지만, 이들 결절과 섬유조직을 혼합하여 자갈 모양과
엎질러진 형태를 보여준다.
우리나라에서는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의 장기 지속성이 가장 흔한 원인이다.
이외에 부분적으로 C형 간염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또한 화학 물질, 일부 변비 약물 및 결핵 약물,
장기간 복용된 다량의 알코올, 윌슨 병 및 간에서 독소 역할을 할 수 있는 혈색증 또한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6. 원인
: 간세포의 파괴, 재생, 흔적을 동반하는 염증이 원인이다.
간경변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발생한다.
1) 장기간 과다한 알코올 섭취
2) 간염
3) 독성 물질에 노출
7. 증상
: 초기 증상은 만성 간염과 유사하며 메스꺼움, 식욕 저하, 소화불량 등의 증상이 나타나 피로와 허약함이 든다.
잇몸 출혈과 비혈은 쉽게 나고, 여성에서는 월경이 사라질 수도 있다.
때때로 얼굴은 흑갈색이고 거칠어서 눈자위의 황달을 나타내거나 모세혈관이 주로 볼에 보인다.
목과 가슴에는 혈관종이 발생하고, 남자의 젖가슴이 여자의 젖가슴처럼 부풀어오르고, 고환이 위축될 수도 있다.
손바닥과 발바닥의 혈관이 팽창하고 치질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말기 증상은 대개 이전 증상에서 지속적이거나 더 나쁜 것으로 보여 합병증을 일으킨다.
합병증으로는 여러 개의 식도 정맥류 파열로 인한 출혈과 간성혼수가 있다. 일부 환자에서는 간암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확진을 위해서는 복강경 검사와 간 생검이 실시되어야 한다.
8. 치료
: 더 이상 간기능이 나쁘지 않게 꾸준히 보호해야 한다.
간 조직의 소비를 보충하고 간세포의 재생을 촉진하기 위해 고칼로리의 균형 잡힌 식단인 고단백질이 필요하다.
그러나 간뇌 증상이 발생하면 본능이 표현되거나 단어가 어두워지고 기억력이 희미해 단백질 섭취를 금지한다.
복수나 발에서 부종을 일으키는 사람들은 소금기가 없는 식단을 가져야 한다.
식도정맥류 파열로 출혈이 생기면 즉시 지혈을 한다.
철 함유 제제는 출혈 및 영양 부족으로 인한 빈혈을 치료하도록 지시 될 수 있다.
수분 감소를 줄이기 위해 이뇨제, 암모니아 축적을 줄일 수 있는 Neomycin과 같은 항생제를 사용할 수 있다.
9. 기타
분류 : 대결절성 간경변, 소결절성 간경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