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정보

변비

갱별 2021. 3. 28. 23:57
반응형

1. 질병명

: 변비

 

 

2. 영어명

: Constipation

 

 

3. 분류

: 소화기 질환

 

 

4. 질병 코드

: K590

 

 

5. 정의

  : 일반적으로 배설 횟수가 일주일에 3회 미만이며, 단단하고 건조한 변을 볼 때 변비라 한다.

 

 

6. 원인

  : 모든 환자에서 변비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할 수 없지만 대장의 평활근 수축을 늦추고 대장을 통과하는 시간을 

   늘리면 대장의 수분 흡수와 변비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섬유질이 적거나 물을 적게 먹는 사람들에게는 변비가 많이 있으며, 약물 사용으로 인한 변비도 흔하다. 

   많은 변비는 고기, 치즈와 같은 유제품 및 계란을 더 많이 먹는 사람들에게 발현된다.

   운동 부족은 대장 운동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 임신, 노화, 여행 및 배변감을 무시하고 

   변비를 일으킬 수 있다.

   

 

7. 증상

   : 변비가 있으면 배변 중 통증, 저위 팽창감, 불완전한 배변감을 동반할 수 있다.

 

 

8. 치료

   : 약리치료

    변비는 다른 기저병이나 신체이상 증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치료를 시작하기 전에 다른 심각한 질병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변비의 예방 및 만성 변비 치료는 식이요법과 함께 체적형성 완화제(확장 완화제)를 투여한다.

    급성 변비의 경우 어떤 종류의 완충제라도 짧은 기간 동안 사용할 수 있지만, 일주일 이상 사용할 경우 전문가와 

    상의해야 한다.

    5세 미만의 어린이 : 글리세린 좌제, 수산화 마그네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자극성 완화제의 사용은 

    피해야하며 과한 관장은 지양해야한다. 그러나 심한 변비에는 비사코딜을 사용할 수 있다. 

    2세 미만의 어린이의 경우 일반적으로 관장을 권장하지 않는다.

 

 

9. 기타

   1) 배변감을 무시하면 안된다. 아침 식사 10분 이상 배변을 시도하며 효과가 없으면 식후에 다시 시도한다. 

       배변 반사는 지속적이고 의식적인 반복 훈련을 통해 정상화 될 수 있다.

   2) 아침에 더 천천히 많이 먹고 규칙적인 아침식사를 하라.

   3) 매일 아침 일어나면 찬물, 찬 우유, 주스를 마신다.

   4) 스트레스와 분노를 해결하는 생활방식이 가진다.

   5) Woking, Jogging, 계단오르내리기, 복근 운동 등을 정기적으로 수행한다.

   6) 복부 마사지는 변비에 도움된다.

 

반응형

'질병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면증  (0) 2021.04.01
신경증  (0) 2021.03.30
간경변, 간경변증  (0) 2021.03.28
단독  (0) 2021.03.28
척수염  (0) 2021.03.25